메뉴 건너뛰기

종족의 차이는 그들을 인간 이하로 만들었다

관리자 2011.06.04 01:18 조회 수 : 4026 추천:14

아프리카의 국경은 일직선이다. 복잡한 종족과 역사를 가진 아프리카 국가들의 국경이 일직선인 이유는 간단하다. ‘침략자’들이 자신들의 편의대로 국경선을 만들어놨기 때문이다.

18세기 이전 ‘미지의 대륙’으로 불렸던 아프리카는 풍부한 천연자원을 탐내던 서구 제국주의 국가들의 각축장이 된 이후 원주민들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조각조각 났다. 서로 다른 종족이 자신들의 의지와 상관없이 한데 엮였고, 같은 종족은 찢어졌다.

힘을 잃은 열강들이 대륙을 빠져나가자 ‘불편한 동거’를 하던 종족들 사이에 분쟁이 일어났다. 그렇게 “너와 나는 종(種)이 다르다”는 이유로 수백만 명이 학살되고 굶어 죽는 무자비한 종족 분쟁이 시작됐다.

◆제국주의는 르완다에 갈등의 씨를 낳았다

르완다를 종족 갈등의 구렁텅이로 빠트린 직접적 주범은 벨기에다. 벨기에는 이 지역의 소수민족이자 왕족이었던 투치족(10%)을 다수족인 후투족(89%)보다 우대해 서로에게 증오의 씨를 남겼다.

1962년 벨기에로부터 독립한 뒤 혼란에 빠진 르완다의 정권을 다수족인 후투족이 잡았다. 후투족은 대학살을 자행했고 핍박당하던 투치족은 1990년 우간다와 탄자니아를 거점으로 한 르완다 애국전선(RPF)을 결성해 정부군을 공격했다.

두 민족간 유혈 충돌은 1993년 유엔의 중재로 마무리되는 듯 했다. 하지만 1994년 대통령이 탑승한 비행기가 미사일에 격추되면서 상황은 극적으로 나빠졌다. 사건을 투치족 반군 소행으로 단정한 르완다 정부군과 후투족이 투치족 인종청소에 나섰고 이 과정에서 50만~100만명이 학살된 것으로 알려졌다. 반격에 나선 투치족은 1994년 7월 후투족 정권을 무너뜨리고 새로운 정권을 수립했다.

2000년 르완다는 헌법과 행정구역 등을 개편하고 동아프리카 연합에 들어가는 등 국가정비에 나섰다. 인종청소의 아픔을 딛고 르완다는 다시 조금씩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

출처; 조선일보 2011년 5월 25일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2 르완다 평화유지군 철수계획 철회 논의 관리자 2010.09.10 3931
211 콩고 반군 ‘한달새 500여건’ 조직적·집단적 성폭행 관리자 2010.09.10 3948
210 레바논 총리, 부친 암살의 시리아 배후설 철회 관리자 2010.09.10 3816
209 한ㆍ아프리카 중소기업 협력포럼 개최 관리자 2010.09.17 3873
208 <르포> 알제리 대우건설 비료공장 현장을 가다 관리자 2010.09.17 5671
207 <인터뷰> 최성주 알제리 한국대사 관리자 2010.09.17 4170
206 한-아프리카 수출입銀, 공동 금융지원 MOU체결 관리자 2010.09.17 4144
205 정부 "아프리카와 더 친해지고 싶어" 관리자 2010.09.17 3892
204 마다가스카르 국제회의 참석자 숙소 인근서 폭발물 발견 관리자 2010.09.17 5073
203 민주콩고 "한국, 아프리카 목소리 대변해야" 관리자 2010.09.17 4329
202 카베루카 아프리카 개발은행 총재, "G20서 한국 역할 중요" 관리자 2010.09.17 5147
201 고 배윤재 선교사 순교 1주기 추모행사 (프랑스) 관리자 2010.09.17 7299
200 세네갈서 '김삼순'이 뜨지 못한 까닭 관리자 2010.10.01 3935
199 <인터뷰> 세네갈 방송 편성국장 칸 디옵 관리자 2010.10.01 4240
198 한.리비아 외교갈등 해결 가닥 잡은듯 관리자 2010.10.01 4307
197 사우디, 佛과 원자력협력협정 체결 전망 관리자 2010.10.01 4017
196 아이티 대학생들 세네갈서 '열공' 관리자 2010.10.21 3932
195 콩고 성폭행 피해 여성, `성폭력 반대 행진` 벌여 관리자 2010.10.21 4086
194 `비만여성=美의 상징` 모리타니아 전통, 반대운동 관리자 2010.10.21 4095
193 슬픈 민주콩고… 반군에 이어 정부군도 집단 성폭행 ‘야만의 땅’ 관리자 2010.10.22 4936